AWS 2

[리뷰] 14가지 AWS구축 패턴

서론 클라우드 환경이 보편화 됨에 따라 대학생, 개발자 가릴 것 없이 모두 한번씩은 AWS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보통 가장 먼저 EC2를 사용하고 RDS를 이용하여 DB를 연동해보고, 아마 조금 더 활용해 보았다면 Route53을 활용해서 DNS를 연결해 보았을 것입니다. 여기까지는 많은 기술 블로그와 튜토리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이고, 쉽게 따라해 볼 수 있을 것 입니다. 하지만 개인 프로젝트의 규모가 조금 커지거나 기업규모의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위의 단순한 구조로는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실 서비스를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온프로미스로 서비스를 운영하던 것을 클라우드로 어떻게 피버팅 해야 하는지, 한다면 장점과 단점이 무엇인지는 직접 활용해 보기 전 까지..

클라우드 네이티브 - 기초부터 탄탄하게

책을 구성할 때 모든 내용을 다 집어넣고 싶어하는 책이 있고 주제의 핵심적인 내용만 짚어주며 필요한 부분들은 독자들 이 직접 찾아 습득하는 방식의 책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후자의 책을 더 선호하는데 아무리 저자가 뛰어나다고 하더라도 책 한권에 모든 내용을 다 담는 것이 어려운 일일 뿐 아니라 만약 담았다고 하더라도 독자가 충분하게 이해할 만큼의 설명을 넣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이 책에서는 후자의 형태를 따르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개발하기 위한 개발 방법론과 가이드를 제시해 주지만 실제로 운영되는 서비스를 통해서 구현하는 방법은 다루지 않습니다. 전공서로 따지면 심화된 내용을 배우기 위한 개론에 가까운 내용들을 다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CDN, API버전관리, 데브옵스 등 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