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을 뚝딱뚝딱/매일매일 개발일지 3

[C++] 구조체, typedef, templete

자바로 프로그래밍을 시작했지만, 파이썬을 4년 넘게 하면서 파이썬 스타일의 코딩에 너무 익숙해져 버리는 바람에 컴파일 언어가 너무 어려워져버렸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C++을 공부하면서 파이썬과 다른 내용들, 헷갈리거나 생소한 개념들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자체적으로 교차검증을 하긴 했지만 틀린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구조체(struct) 여러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클래스와 비슷하지만, 메소드가 존재하지 않고 멤버변수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한번에 여러 개의 값을 담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함수의 입력값과 반환값이 여러 개일 때 사용하기 용이합니다. 파이썬의 딕셔너리와 비교하자면 조금 더 자료형과 구조가 잡혀있는 형태라고 ..

npm install --save 옵션에 대하여

Node.js를 사용하다 보면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게 바로 Node Package Manager라고 불리는 npm 입니다. 저도 개발할 때 npm에서 유용한 모듈들을 다운받아서 좀 더 편하고 빠르게 프로그램을 작성하게 되는데요, 오늘은 npm install과 pakage.json 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려고 합니다. 보통 Node.js 프로젝트의 의존성을 관리하기 위해 npm init 명령어를 이용하며 package.json 파일을 프로젝트 폴더 안에 생성합니다. 그리고 npm install을 통해 받은 모듈을 의존성에 추가하기 위해 npm install 모듈명 --save 옵션을 사용하실 텐데요, 사실 --save 옵션은 작성하지 않으셔도 모듈을 설치할 때 package.json의 dependen..

18.01.08 개발일지

1. Chrome 브라우저는 http 요청할 때 2번 요청한다. 브라우저에서 Node.js 서버로 Get 요청을 날릴 때 마다 Connection 이벤트가 2번 씩 발생해서 요청 받은 경로를 콘솔로 찍어 확인해보니 원래 내가 요청했던 경로와, favicon.ico로 두번 요청이 들어오는 것을 확인했다. 즉, 브라우저에서는 서버에 요청을 날릴 때 사용자가 지정한 경로+favicon.ico 경로 요청을 더해 총 2번 요청하는 것이다. * favicon.ico란 favorite + icon의 합성어로, 브라우저 url 왼쪽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웹사이트 주소/favicon.ico에 요청을 날려 아이콘을 가져온다. 2. Node.js의 process 모듈 내에 존재하던 EventEmitter..